개인노트-인강

개인 노트 정리) 시각디자인12 - 테슬라 반응형 웹 사이트 클론 디자인 실습하기 (포토샵, 피그마)

roroism 2023. 8. 1. 22:04

완전정복! 시각디자인 기초 올인원 패키지 Online
Part 2. 시각디자인 기초 2 (디지털 매체)
테슬라 반응형 웹 사이트 클론 디자인 실습하기 (포토샵, 피그마)

 

# 테슬라 반응형 웹사이트 구조 살펴보기

# 메뉴 바 만들기

- 메뉴 바는 보통 'gnb' 라고 부른다. 'global navigation bar'

- 다른 클론 디자인 할 때는 해당 브랜드의 브랜드 가이드를 보는 것이 좋다. 하지만 테슬라는 10년전에 나온 가이드가 있긴 하지만 큰 도움이 안된다.

- 전체 width 값 1210px 이상부터 전체 메뉴가 나오기 시작하므로 1210px를 break point 로 잡는다.

- 그다음 break point는 640px 이다. figma -> frame 으로 각각 width 값 1210px, 630px frame을 만들어 준다.

- 테슬라 로고 svg를 figma로 가져온다.

- 폰트 정보를 찾아서 실제 폰트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. (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이텔릭체는 제거해도 좋다.)

- gnb의 font 크기, 마진등의 정보를 참고한다.

- gnb 버튼 영역과 그 위에 올라간 메뉴 텍스트를 합쳐서 Create component로 컴포넌트화 한다.

- gnb 컴포넌트 6개를 동시에 선택하여 Auto layout 처리 한다.

- 크기를 줄일 땐 scale 툴을 써야 이미지가 안 깨진다.

- rectangle을 이용하여 햄버거 버튼의 삼색선을 만든 후, 3개의 rectangle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 Union selection 처리한다.

- Union selection 처리한 삼색 선과 햄버거 버튼의 바탕이 되는 rectangle을 같이 선택하여 Create component 화 한다.

- 컴포넌트화된 햄버거 버튼의 이름을 icons / menu 로 수정한다. 그 후 바탕 rectangle의 색을 빼면 투명화된다.

- 햄버거 버튼을 한 개 복사해서 햄버거 아이콘을 클릭하고 auto layout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padding 이 10이 적용된다. 이름을 버튼에서 쓰는 icon이라는 의미로 buttons / icon 으로 명명한다. 역시 component화 한다.

- fill에 눈 모양 아이콘을 끄면 투명화 된다. buttons / icon의 바탕 rectangle은 아이콘의 터치 범위를 의미한다. 

- 왼쪽 상단 Assets 에 가면 buttons 목록에 우리가 만든 버튼이 생겼다. 드래그 and 드롭으로 가져와서 사용한다.

- 테슬라 로고는 Create component 하여 이름을 logo로 바꾼다.

- 같이 다니는 컨텐츠들 끼리는 하나의 컨텐츠라는 의미로 auto layout으로 묶어 준다. 정렬이 안되었을 때는 정렬 버튼으로 맞춰준다. 사이 간격도 조절 가능

- gnb에 들어가는 모든 컨텐츠 들을 선택하여 auto layout 처리 한다. 그 후 클론하는 사이트의 양쪽 페딩 값만큼 gnb에 페딩을 넣어준다.

- 이제 반응형을 표현할 건데 logo 같은 경우는 리사이징이 되면 안되니까 Resizing이 가로 세로 모두 Fixed 되어있다.

- gnb 메뉴들도 고정이여야 하지만, fixed가 아닌 Hug로 한다. 왜냐하면 안에 있는 text가 길어질수도 있기 때문이다. Hug란 안에 있는 내용이 길어지면 그 만큼만 길어진다의 의미다.

- 그럼 늘어나야하는 부분은 결국 아무것도 없는 사이 공간들이다. 이 사이공간에 Rectangle을 하나 넣어서 이름을 spacing이라고 짓는다. 공간이 2군대 있으니 cmd + d 로 copy 하여 하나 더 넣어준다.

- 이 gnb 바의 사이 공간을 0으로 하면 gnb안의 모든 컨텐츠가 딱 붙는 모습을 볼 수 있다. gnb 바를 마우스로 잡고 늘리거나 줄일 때마다 spacing으로 이름 지어준 rectangle 이 함께 늘거나 줄어들게 하기 위해 spacing 2개를 클릭하여 Resizing을 fill container 로 명명한다. 높이값도 fill container 해줘도 상관없다.

- 이제 gnb바를 마우스로 잡고 가로를 늘리면 같이 따라서 늘어난다.

- 높이 값을 맞춰주기 위해 gnb의 위 아래에 패딩을 넣어 높이를 늘려준다. 

- gnb를 create component로 component로 만들어 준다.

- Assets에서 가져온 컴포넌트는 우리가 컴포넌트화 시킨것의 복제품이다. 그래서 원본 component에 변화를 주면 복제품들도 전부 똑같이 적용된다.

- 복제품에서 지운 것은 원본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. 그리고 복제품에서 delete로 지운것은 정확하게는 아예 없어진 것이 아니라 눈만 꺼서 보이지 않게 처리될 뿐이다. 변화를 준 복제품을 원상태로 복원하려면 Reset all overrides 하면 된다.

- 이제 모바일 Layout을 작업하면 된다. 만든 gnb바를 Assets에서 복제품을 가져와서 불필요한 메뉴들을 지운 후 gnb바를 Frame 크기에 맞춘다.

- 복제품의 로고 svg의 컬러를 수정할 수 있다.

- gnb의 가로 constraints and Resizing 을 Scale 로 바꿔주면 Frame의 가로를 늘이고 줄일 때 마다 gnb도 같이 늘어나고 줄어든다.

 

# 히어로 섹션 만들기

- 히어로 섹션이란? 페이지에 접속했을 때 페이지 상단에 있는 가장 큰 메인 영역.

- 크롬 확장 프로그램 : Image downloader 다운로드. 이것을 이용하여 우리가 클론할 페이지의 이미지들을 다운로드 한다.

- 히어로 영역 width, height를 찾아서 figma에서 rectangle을 이요하여 히어로 영역을 그린다.

- 그 후, fill 속성의 image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넣는다. 이미지는 화면을 줄이고 늘려도 가운데 고정된 상태로 양옆이 잘려가는 페이지 구조 이므로 constraints 에서 가로를 left and right 로 설정한다.

- 히어로 섹션에 올라가는 텍스트도 반응형에 맞춰 가운데 정렬되게 하려면, 텍스트 양 옆에 spacing rectangle을 넣고 Resizing을 fill container로 설정, 텍스트 가로를 화면 끝까지 늘리고 가운데 정렬, constraints and Resizing 가로를 Left and right로 설정.

- mobile frame에도 똑같이 적용. 이미지는 모바일 이미지로 교체.

# 인테리어 섹션 만들기

- 텍스트 : 텍스트 도구로 텍스트 입력 -> auto layout으로 padding 입력 -> 마우스 드래그 드롭으로 화면 양끝까지 텍스트 영역을 늘린다. Constraints 가로를 Left and right로 선택.

- 사진 영역 : rectangle로 만든 후 fill을 image로 선택. -> Constraints 가로를 Left and right로 선택하여 Frame에 맞춰 늘리고 줄어들게 만든다.

- 꺽쇠 화살표 : rectangle 2개를 붙여서 만들고 합친다(Union). 바탕을 rectangle로 만든다. -> create components -> 이름을 icons / arrow / left

- 만든 꺽쇠 화살표를 사용하여 border가 있는 모양으로 컴포넌트화 : component를 복사하여 -> auto layout을 설정 -> Resizing 을 fixed로 설정 -> w : 40, h : 40 -> Stroke을 Inside로 2로 설정. -> component화 -> buttons / indicator 로 이름 설정.

- component를 넣고 싶은 Frame에 붙여 넣으면 Frame에 이미 들어있는 기존의 Rectangle의 밑 Frame에 붙어 버린다. Frame과 기존의 Rectangle에 올리고 싶다면 Rectangle과 component를 묶어서 Group selection을 하고 가운데 정렬을 해준다. shift + 화살표 키 를 눌러서 해당 component를 옮기고 싶은 자리에 옮긴다. 

- (맥os) cmd + d 로 복사해서 아이콘을 선택한 뒤에 아까 만든 다른 컴포넌트 화살표로 교체하여 넣을 수 있다.

 

# 인테리어 그리드 섹션 만들기

- 양쪽 좌우로 나뉘어져 3~4층으로 division된 영역 디자인 하기.

- title 텍스트와 내용 텍스트를 묶어서 전체 가로 사이즈를 설정하고, auto layout을 설정하여 좌우 패딩을 넣어준다.

- 이미지와 텍스트 묶음을 같이 선택하여 auto layout 설정해 주고, 간격 값을 설정.

 

# 퍼포먼스 섹션 만들기

# 전기 파워트레인 섹션 만들기

# 익스테리어 섹션 만들기

# 주행거리 섹션 만들기

# 총 주행거리 섹션 만들기

# 안전성 섹션 만들기

# 오토 파일럿 섹션 만들기

- 컴포넌트의 세로 배열 : Auto layout에서 세로 아이콘 클릭

# 제원 섹션 만들기

- 많이 쓰일 것 같은 패턴의 엘리먼트는 컴포넌트화 한다.

# 푸터 만들기

- Frame을 선택한 후 오른쪽 위 플레이 아이콘 버튼을 누르면, 우리가 만든 디자인을 미리보기 할 수 있다.

- 실제 사이트와의 유일한 차이점은 스크롤 애니메이션 유무의 차이다.

- 컴포넌트화 작업을 하는 연습을 해야 이후에 수정이나 다른 페이지 작업을 할 때 훨씬 빠르게 작업할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