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인 노트 정리) 시각디자인8 - 디스플레이 환경 이해하기 (픽셀 밀도 이해하기)

2023. 7. 16. 15:41개인노트-인강

완전정복! 시각디자인 기초 올인원 패키지 Online
Part 2. 시각디자인 기초 2 (디지털 매체)
디스플레이 환경 이해하기 (픽셀 밀도 이해하기)

 

# 인쇄 디자인과 디지털 미디어의 차이 이해하기

- 인쇄 : CMYK

- 디지털 미디어 : RGB

 

## 컬러값을 전달하는 방식

- RGBA

- Hex

 

## 해상도를 표현하는 방식의 차이

- 인쇄 : DPI

- 디지털 미디어 : PPI

 

## 3가지 해상도를 주로 사용

- 72ppi : 디지털 미디어

- 150ppi : 신문 인쇄

- 300ppi : 잡지 인쇄

 

## 이미지 포맷

- Vector

- Bitmap

 

# 일반 디스플레이와 레티나 디스플레이의 차이 이해하기

- 같은 브랜드의 스마트 폰이라도 ppi가 전부 다르다.

- 최초의 맥에서 디스플레이는 1인치 당 72개의 픽셀이 들어감. 그 후로 몇 십년간 72 ppi의 픽셀 밀도에서 그래픽을 표현. 그래서 지금도 일반적인 모니터 기준의 웹 디자인에서는 72 ppi를 사용.

- 하지만 2010년에 애플이 레티나(의미 : 망막) 디스플레이를 공개하면서, 현재 16인치 맥북 프로의 경우 2880 x 1800 해상도에서 221 ppi를 지원.

- 현재 판매중인 모든 애플의 디바이스는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지원.

 

# 디지털 미디어 디자인을 위한 컬러 프로파일 이해하기

## 컬러 프로파일(Color Profile)

- 컬러를 보게 되는 다양한 환경(제조사 별로 다양한 모니터 ex : 삼성, lg...)에서 컬러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.

- 제조사 별로 컬러를 표현하는 기술의 차이로 인해 권장하는 프로파일을 사용해야 함.

 

### 사용되는 컬러 프로파일

1. sRGB : 가장 표준(기본) 표현 값

2. P3 Display : 더 넓은 값을 표현.

 

- 모바일은 P3로 작업하고, 웹 사이트는 sRGB로 작업한다.